사회

2025년 지역별 아파트 노후도 랭킹

kimnews 2025. 5. 14. 22:21
반응형

주공-아파트-옆면
2025년 지역별 아파트 노후도 랭킹

 

서울특별시

서울시에서 아파트 노후도가 가장 심각한 곳은 중구로써 평균연식이 무려 52.7년에 달했습니다. 그 뒤를 이어 용산구(43.3년), 서대문구(41.0년)가 각 2,3위를 차지했는데 이들 또한 평균연식이 40년을 넘는 수치였습니다.

 

반면에 이른바 강남 4 구로 불리는 송파구(24.4년), 강동구(25.5년), 강남구(25.7년), 서초구(26.8년)는 서울 내에서도 비교적 신축 아파트가 많은 곳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순위 시군구 평균연식
1위 중구 52.7년
2위 용산구 43.3년
3위 서대문구 41.0년
4위 종로구 39.5년
5위 성동구 39.0년
6위 동대문구 38.1년
7위 영등포구 36.8년
8위 성북구 35.7년
9위 강북구 33.0년
10위 마포구 32.3년
11위 동작구 31.0년
12위 은평구 30.5년
13위 광진구 30.1년
14위 도봉구 29.9년
15위 금천구 29.9년
16위 중랑구 28.7년
17위 양천구 28.6년
18위 노원구 28.5년
19위 구로구 27.8년
20위 강서구 27.6년
21위 관악구 26.8년
22위 서초구 26.8년
23위 강남구 25.7년
24위 강동구 25.5년
25위 송파구 24.4년

※ 참고: 아파트 부실공사 처벌 수위 알아보기

 

아파트 부실공사 처벌 수위 알아보기

무량판 구조 민간아파트 조사 실시 지난 2023년 4월 29일, GS건설에서 시공 중이던 인천 서구 검단신도시 LH 아파트의 지하주차장 상판이 붕괴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사고조사위원회의 조사결

rlasbtm.tistory.com

 

경기도

경기도는 남부권에 수원, 용인, 성남, 화성, 평택, 이천 등 양질의 일자리가 많은 지역도 있지만 서울과 인접한 경기도에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거주민도 많습니다.

 

특히 서울로 출퇴근을 하는 경기도민들 중에는 서울의 낡은 구축 아파트 보다 출퇴근 거리가 좀 멀어지더라도 경기도에서 신축 또는 준신축 아파트에 거주하는 것을 선호하는 수요가 많기 때문에 경기도에 있는 아파트들이 비교적 서울보다는 평균연식이 낮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순위 시군구 평균연식
1위 수원시 팔달구 38.5년
2위 안성시 34.4년
3위 동두천시 30.9년
4위 의정부시 29.1년
5위 안양시 만안구 28.9년
6위 수원시 장안구 28.5년
7위 안양시 동안구 27.9년
8위 광명시 27.8년
9위 연천군 27.1년
10위 안산시 단원구 25.2년
11위 성남시 중원구 25.1년
12위 수원시 권선구 24.9년
13위 양주시 24.6년
14위 구리시 24.0년
15위 의왕시 24.0년
16위 과천시 23.9년
17위 군포시 23.6년
18위 성남시 분당구 23.1년
19위 성남시 수정구 23.0년
20위 용인시 처인구 22.8년
21위 양평군 22.8년
22위 포천시 22.6년
23위 안산시 상록구 22.5년
24위 남양주시 22.1년
25위 오산시 22.0년
26위 고양시 일산서구 21.5년
27위 가평군 21.2년
28위 화성시 19.6년
29위 평택시 19.4년
30위 시흥시 19.3년
31위 이천시 19.3년
32위 광주시 19.3년
33위 고양시 덕양구 18.7년
34위 고양시 일산동구 18.5년
35위 수원시 영통구 18.4년
36위 용인시 기흥구 18.3년
37위 여주시 17.4년
38위 하남시 17.3년
39위 김포시 16.6년
40위 용인시 수지구 15.8년
41위 파주시 14.6년

 

인천광역시

앞서 살펴본 경기도와 비슷한 이유로 인천에도 서울보다 신축급 아파트가 많이 있습니다.

 

송도신도시가 자리한 연수구를 제외하고는 검단신도시가 있는 서구, 계양구, 부평구 등 비교적 서울과 지리적으로 인접한 인천지역에 있는 아파트 노후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이는 인천에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사람들이 서울을 벗어나 비교적 출퇴근이 용이하면서도 가격이 저렴하고 연식이 오래되지 않은 인천의 아파트를 선호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방증입니다.

순위 시군구 평균연식
1위 중구 33.9년
2위 동구 33.7년
3위 옹진군 33.3년
4위 미추홀구 31.1년
5위 강화군 30.2년
6위 부평구 30.0년
7위 연수구 24.1년
8위 계양구 23.6년
9위 남동구 22.1년
10위 서구 19.5년

 

강원특별자치도

강원도에서는 강릉, 속초, 춘천, 원주 등 관광이나 도내 거점 지역으로 유명한 도시들의 아파트 연식이 오래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순위 시군구 평균연식
1위 강릉시 34.2년
2위 속초시 31.6년
3위 태백시 30.3년
4위 춘천시 28.4년
5위 고성군 26.9년
6위 평창군 26.7년
7위 삼척시 25.8년
8위 원주시 25.6년
9위 홍천군 24.8년
10위 화천군 24.5년
11위 동해시 24.2년
12위 양구군 23.7년
13위 정선군 22.4년
14위 철원군 21.9년
15위 영월군 20.9년
16위 양양군 20.2년
17위 인제군 19.1년
18위 횡성군 17.3년

 

경상북도

경북은 혁신도시가 들어선 구미, KTX 역세권 개발사업으로 신축 아파트가 많이 들어선 포항 등 경북 내에서도 남부지역의 아파트 노후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납니다.

순위 시군구 평균연식
1위 의성군 48.7년
2위 울진군 46.0년
3위 봉화군 45.3년
4위 예천군 44.9년
5위 영양군 42.3년
6위 고령군 41.8년
7위 성주군 41.4년
8위 경주시 41.1년
9위 영덕군 41.0년
10위 안동시 40.8년
11위 청도군 39.7년
12위 영천시 39.3년
13위 울릉군 39.0년
14위 문경시 38.1년
15위 영주시 36.7년
16위 청송군 35.0년
17위 상주시 34.9년
18위 김천시 34.1년
19위 경산시 31.4년
20위 포항시 북구 28.9년
21위 구미시 27.6년
22위 칠곡군 26.5년
23위 포항시 남구 25.7년

 

경상남도

창원, 김해, 양산, 진주 등 경남에서 유명한 지역들의 아파트 노후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나지만 전국 평균적으로 보았을 때는 경남의 아파트 노후도는 다소 높은 것으로 확인됩니다.

순위 시군구 평균연식
1위 고성군 46.3년
2위 밀양시 46.0년
3위 창녕군 45.6년
4위 거창군 45.5년
5위 남해군 44.5년
6위 합천군 43.7년
7위 사천시 42.0년
8위 통영시 42.0년
9위 함양군 41.5년
10위 하동군 41.0년
11위 산청군 39.9년
12위 창원시 의창구 39.1년
13위 창원시 진해구 38.8년
14위 진주시 35.7년
15위 창원시 마산회원구 33.3년
16위 거제시 32.5년
17위 창원시 성산구 31.6년
18위 김해시 30.0년
19위 창원시 마산합포구 29.8년
20위 양산시 25.6년
21위 의령군 23.9년
22위 함안군 18.4년

※ 참고: 세계의 아동학대 처벌 규정

 

세계의 아동학대 처벌 규정

대한민국우리나라는 아동복지법,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에서 아동학대 규정과 처벌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아동학대범이 피해아동을

jingoo.tistory.com

 

광주광역시

광주에서 신규택지 개발사업이 진행되었던 서구 지역의 아파트 연식이 비교적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순위 시군구 평균연식
1위 광산구 36.6년
2위 동구 33.3년
3위 남구 26.5년
4위 북구 24.1년
5위 서구 21.7

 

대구광역시

대구는 신축이 많이 들어선 달서구 지역과 몇몇 구축을 제외한 상업시설이 많은 중구를 제외하고는 나머지 지역들의 아파트 연식이 모두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순위 시군구 평균연식
1위 중구 46.8년
2위 남구 38.0년
3위 동구 35.1년
4위 북구 33.0년
5위 서구 32.7년
6위 수성구 32.1년
7위 달성군 30.5년
8위 달서구 26.0년

 

대전광역시

상업지역 위주인 중구 지역의 아파트 노후도가 가장 높았으며 유성구 지역의 노후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습니다.

순위 시군구 평균연식
1위 중구 40.3년
2위 동구 37.8년
3위 서구 32.9년
4위 대덕구 32.3년
5위 유성구 28.7년

 

부산광역시

부산은 동서남북 특정 지리적 위치와는 관계없이 구축과 신축이 뒤섞여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었습니다. 아파트 노후도가 가장 높은 지역은 서구(48.4년)였으며 낮은 지역은 기장군(27.6년)으로 나타났습니다.

순위 시군구 평균연식
1위 서구 48.4년
2위 동구 44.5년
3위 부산진구 41.4년
4위 동래구 39.6년
5위 연제구 39.2년
6위 사하구 35.5년
7위 남구 34.8년
8위 수영구 34.5년
9위 영도구 34.4년
10위 사상구 33.9년
11위 중구 33.1년
12위 해운대구 32.4년
13위 북구 29.1년
14위 강서구 28.9년
15위 금정구 28.3년
16위 기장군 27.6년

 

세종특별자치시

단일 자치구로 구성되어 있는 세종시의 아파트 평균연식은 22.0년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울산광역시

울산은 단일 자치구로 되어 있는 세종시를 제외하고 비교적 다른 광역단위 지자체들에 비해 아파트 평균연식이 낮은 편에 속했습니다. 그래도 가장 노후도가 심한 곳은 중구였는데 평균연식은 33.7년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순위 시군구 평균연식
1위 중구 33.7년
2위 남구 28.8년
3위 동구 27.1년
4위 울주군 23.7년
5위 북구 22.7년

 

전북특별자치도

전북은 노후도 1위와 꼴찌의 차이가 매우 컸는데 부안군의 평균연식이 46.2년인데 비해 고창군은 19.1년으로 약 27년의 차이를 보였습니다. 

순위 시군구 평균연식
1위 부안군 46.2년
2위 군산시 41.1년
3위 전주시 완산구 40.4년
4위 순창군 39.8년
5위 남원시 38.6년
6위 무주군 37.7년
7위 익산시 37.6년
8위 김제시 35.8년
9위 장수군 35.5년
10위 정읍시 34.5년
11위 진안군 34.1년
12위 완주군 31.5년
13위 임실군 29.9년
14위 전주시 덕진구 39.4년
15위 고창군 19.1년

 

전라남도

전남은 진도, 목포와 같이 서남권에 위치한 지역이 다소 노후도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고 여수, 광양 등 동남권에 위치한 곳의 노후도는 다소 양호한 편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순위 시군구 평균연식
1위 진도군 51.5년
2위 목포시 50.3년
3위 신안군 49.9년
4위 나주시 45.3년
5위 해남군 43.2년
6위 보성군 43.0년
7위 강진군 42.7년
8위 장흥군 41.0년
9위 구례군 40.0년
10위 완도군 39.8년
11위 고흥군 38.7년
12위 곡성군 38.0년
13위 무안군 38.0년
14위 순천시 36.4년
15위 화순군 36.0년
16위 영암군 35.3년
17위 장성군 35.1년
18위 여수시 33.3년
19위 광양시 33.2년
20위 영광군 31.6년
21위 담양군 30.6년
22위 함평군 27.5년

※ 참고: 2025년 전국 아파트 노후도 순위

 

2025년 전국 아파트 노후도 순위

시도별 아파트 노후도 순위전국 광역 지자체 단위별로 아파트 노후도가 가장 심한 곳은 전라남도로써 아파트(나 홀로 아파트 포함) 평균 노후도가 무려 40.1년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

road2ace.tistory.com

 

제주특별자치도

제주도는 서귀포시의 아파트 평균 노후도가 31.0년, 제주시가 23.7년으로 확인됩니다.

 

충청북도

충북에서는 상당구를 제외한 나머지 청주의 3개 자치구 지역과 충주시, 영동군의 아파트 노후도가 양호한 편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순위 시군구 평균연식
1위 옥천군 42.3년
2위 보은군 42.0년
3위 청주시 상당구 37.3년
4위 단양군 36.6년
5위 괴산군 36.3년
6위 진천군 36.1년
7위 증평군 33.3년
8위 제천시 32.1년
9위 음성군 32.0년
10위 충주시 28.9년
11위 청주시 서원구 21.5년
12위 영동군 18.9년
13위 청주시 청원구 18.5년
14위 청주시 흥덕구 17.9년

 

충청남도

전북과 마찬가지로 충남도 아파트 노후도가 가장 심한 부여군(47.1년)과 가장 양호한 당진시(19.8년)의 격차가 약 27년으로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순위 시군구 평균연식
1위 부여군 47.1년
2위 청양군 44.4년
3위 논산시 39.3년
4위 금산군 37.5년
5위 예산군 36.3년
6위 서산시 32.6년
7위 천안시 동남구 32.3년
8위 아산시 30.4년
9위 공주시 27.9년
10위 태안군 27.9년
11위 서천군 27.8년
12위 보령시 27.5년
13위 천안시 서북구 25.6년
14위 계룡시 24.3년
15위 홍성군 22.8년
16위 당진시 19.8년

※ 출처: 리치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