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골다공증의 발생 원인과 예방에 좋은 음식들

kimnews 2024. 3. 29. 15:40
반응형

입에-손을-올린-사람해골
골다공증의 발생 원인과 예방에 좋은 음식들

 

대한민국 골다공증 환자수

골다공증이란, 단어 그대로 뼛속에 구멍이 많다는 뜻으로 뼈의 양과 질이 감소하여 강도가 약해지면서 뼈가 외부충격에 의해 쉽게 부러질 수 있는 질환입니다.

 

2022년 8월, ‘국제신문’에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를 통해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골다공증 환자숫자는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며 여성이 남성보다 훨씬 그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연도별 골다공증 환자수
  • 2021년: 112만 6,861명
  • 2020년: 105만 4,892명
  • 2019년: 107만 9,548명
  • 2018년: 97만 2,196명
  • 2017년: 90만 6,631명

※ 참고: 홍역 증상과 치료법 알아보기

 

홍역 증상과 치료법 알아보기(2023)

홍역이란? 급성 발진성 바이러스 질환으로 전염성이 매우 높은 것이 특징입니다. 감염 초기에 감기와 비슷하게 기침, 콧물, 결막염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후, 고열과 함께 얼굴을 시작으로

rlasbtm.tistory.com

국제신문, 국내 골다공증 진료환자수 통계

 

골다공증의 발생원인 및 진단기준

우리의 신체는 파골세포에 의해 낡은 뼈는 사멸하고 조골세포에 의해 새로운 뼈가 생성되는 과정이 반복되는데 나이를 먹음에 따라 파골세포가 조골세포 보다 더 활발히 활동하게 됨에 따라 골밀도 감소가 오게 됩니다.

 

‘대한골대사학회’에서 마련한 골감소증과 골다공증의 진단기준에 따르면 뼛속에 차있는 골양으로 골밀도를 수치화하며 -1.0까지는 정상 범위로 간주합니다.

 

만약, 골밀도가 -1.0에서 -2.5 이내이면 골감소증으로 판단하고 -2.5 이상이면 골다공증으로 진단하고 있습니다.

  • 파골세포: 낡은 뼈를 녹여내는 역할
  • 조골세포: 새로운 뼈 성분을 만들어내는 역할

KBS 생로병사의 비밀, 골감소증과 골다공증의 진단기

 

골다공증성 재골절 발생률

골다공증으로 인해 골절이 발생하면 4년 이내 재골절이 발생할 확률이 남녀 평균 20% 이상이나 될 정도로 높기 때문에 평소 뼈 건강에 신경 쓰지 않아 골다공증 진단을 받게 되면 일상생활에서 늘 골절상을 걱정해야 할 정도로 생활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정형외과 김용찬 교수에 의하면 변기에 앉거나, 화분을 들다가 심지어 재채기를 하다가도 골절을 입기도 한다며 평소 골다공증 예방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 시기별 골다공증성 재골절 발생률
  • 1년 이내: 남자 4.6%, 여자 6.3%
  • 2년 이내: 남자 10.7%, 여자 15.0%
  • 3년 이내: 남자 15.2%, 여자 22.6%
  • 4년 이내: 남자 19.0%, 여자 29.5%

※ 참고: 우리나라 독거노인 비중은 얼마나 될까?

 

우리나라 독거노인 비중은 얼마나 될까?

국내 고령화지수 고령화지수는 국내 14세 이하 인구 대비 65세 이상 인구가 얼마나 되는지를 수치화하여 살펴보는 것으로써 우리나라는 지난 2017년 고령화지수가 100을 넘기면서 노인층이 유소년

road2ace.tistory.com

KBS 생로병사의 비밀, 골다공증성 재골절 발생

 

골다공증에 좋은 음식

‘대한골대사학회’에서는 식품군별로 골다공증에 좋은 음식을 소개했는데요. 음식 아래에 자주색으로 표시된 숫자는 식품별로 100g 당 함유된 칼슘 수치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흔히, 우리가 알고 있는 고칼슘 식품을 많이 섭취하면 골밀도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 100그램 당 칼슘 함유량
  • 유제품: 우유(148mg), 치즈(700mg)
  • 어류, 해조류: 멸치(700mg), 뱅어포(982mg), 미역(153mg), 다시마(700mg)
  • 견과류: 아몬드(234mg), 검은깨(1,066mg)
  • 채소류: 케일(320mg), 브로콜리(64mg), 시금치(40mg)
  • 두류: 두부(146mg)

※ 참고: 2023년 공무원 여비규정 알아보기(이전비, 숙박비, 교통비, 식비)

 

2023년 공무원 여비규정 알아보기(이전비, 숙박비, 교통비, 식비)

공무원 여비 지급 구분표 공무원 여비 규정 제3조 및 별표 1에 따라 국가공무원에 대한 여비가 지급되는데 당연한 이야기지만 급수(계급)가 높을수록 더 좋은 혜택이 부여됩니다. ○ 제1호 가 -

jingoo.tistory.com

KBS 생로병사의 비밀, 골다공증에 좋은 음식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