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2025년 우리나라 청년 나이 기준

kimnews 2025. 7. 10. 14:17
반응형

한복을-입은-여자들이-고궁에-있다
2025년 우리나라 청년 나이 기준

 

청년 나이 기준

우리나라는 2020년 2월 4일 제정한 <청년기본법>에서 청년의 연령을 19세 이상 34세 이하로 정하고 있습니다. 

■ 청년기본법 제3조(정의)
1. “청년”이란 19세 이상 34세 이하인 사람을 말한다. 다만, 다른 법령과 조례에서 청년에 대한 연령을 다르게 적용하는 경우에는 그에 따를 수 있다.

※ 참고: 2025년 고위 공무원 연봉대통령 국무총리 장관

 

2025년 고위 공무원 연봉(대통령, 국무총리, 장관, 차관)

고위공무원 급수소위 라고 불리는 고위직 공무원은 급수가 3급 상당 이상인 대상자들을 일컫습니다. 따라서 시청에서 근무하는 국장, 경찰청에서 근무하는 차장 직급인 사람들도 고위공무원에

jingoo.tistory.com

 

법령 및 정책별 청년 기준

앞서 살펴본 청년기본법 외에도 법령이나 정책별로 청년의 연령 기준을 상이하게 규정하고 있어 이에 대한 확인이 필요합니다.

■ 고용·일자리
- 청년고용촉진특별법 시행령: 15~29세(공공기관, 지방공기업은 15~34세)
- 중소기업 인력지원 특별법: 15~34세(중소기업 청년근로자)
- 고용보험법 시행령: 15~34세(청년 실업자)

■ 창업
-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시행령: 39세 이하(청년 상인)
- 중소기업창업 지원법: 39세 이하(청년 창업자)
- 1인 창조기업 육성에 관한 법률: 39세 이하(1인 창조기업)

■ 농어업
- 후계 농어업인 및 청년농어업인 육성·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40세 미만(청년 농어업인)

■ 세제
-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15~34세(청년창업중소기업), 15~29세(청년 정규직·상시 근로자), 19~34세(청년우대형 청약 종합 저축 소득공제)
- 지방세특례제한법 시행령: 15~34세(청년창업기업·중소기업취업 청년), 15~29세(청년 상시 근로자 고용 창출 투자세액 공제)

■ 정치참여
- 정치자금법: 39세 이하(청년 후보자)

※ 참고: 2025년 세계 국가 채무 순위

 

2025년 세계 국가 채무 순위

2025년 GDP 대비 국가 부채 현황국제통화기금 IMF에서 2025년 4월에 발간한 재정점검보고서(Fiscal Monitor)에 따르면 2025년 기준 나라별 GDP 대비 부채 비율이 가장 높은 국가는 일본으로 234.9%에 달했습

road2ace.tistory.com

국회입법조사처-법령-및-정책별-청년-연령-기준
국회입법조사처, 법령 및 정책별 청년 연령 기준

 

광역지자체 조례상 청년 기준

우리나라에는 총 17개의 광역자치단체가 있는데 지자체별로 조례상 청년을 규정하는 나이 기준에 약간의 편차가 있습니다.

지역 연령 지역 연령
서울 19-39 강원 18-45
부산 18-39 충북 19-39
대구 19-39 충남 19-39
인천 18-39 전북 18-19
광주 19-39 전남 18-45
대전 18-39 경북 19-39
울산 19-39 경남 19-39
세종 19-39 제주 19-39
경기 19-39    

※ 참고: 온열질환에 좋은 음식과 발생 통계 현황

 

온열질환에 좋은 음식과 발생 통계 현황(2023)

온열질환이란? 온열질환은 열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질환으로 뜨거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 시 두통, 어지럼증,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저하 등의 증상을 보입니다. 이를 가벼이 여겨 간과할 시 자

rlasbtm.tistory.com

국회입법조사처-광역지자체-조례상-청년-기준
국회입법조사처, 광역지자체 조례상 청년 기준

 

기초지자체 조례상 청년 기준

17개 광역자치단체 아래에는 총 226개 기초자치단체가 속해 있는데 각 기초지자체에서도 조례를 통해 청년의 연령 기준을 산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기준 상한이 49세에 이르는 곳이 있는 등 그 편차 범위는 광역지자체 조례에 비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역 상한
34세
상한
39세
상한
45세
상한
49세
서울 0 24 1 0
부산 2 14 0 0
대구 0 8 1 0
인천 0 9 0 1
광주 0 5 0 0
대전 2 3 0 0
울산 0 5 0 0
경기 3 27 0 1
강원 0 6 6 6
충북 0 6 3 2
충남 0 6 8 1
전북 1 3 7 3
전남 0 0 8 14
경북 1 7 8 6
경남 0 7 5 6
합계 9 130 47 40

※ 출처: 국회입법조사처

국회입법조사처-기초지자체-조례상-청년-기준
국회입법조사처, 기초지자체 조례상 청년 기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