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2025년 인구 감소 지역 순위

kimnews 2025. 6. 6. 20:04
반응형

한국의-농촌-풍경
2025년 인구 감소 지역 순위

 

시도별 TOP 17

최근 5년간 인구 감소율이 가장 컸던 지역은 4.85%가 줄어든 경상북도로 5년 전 대비 128,445명이 감소한 총 2,522,609명의 인구를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2위는 부산광역시였는데 5년 전 보다 4.46%에 해당하는 151,939명이 감소하여 2025년 4월 1일 현재 부산의 인구는 총 3,256,408명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서울 또한 전국 5위의 인구 감소율을 보였는데 5년 전과 비교하여 -4.06%인 394,927명이 줄어들어 총 9,331,860명으로 집계되었습니다.

 

광역 지자체 단위에서 인구가 증가한 지역은 세종, 경기, 인천, 충남 4곳뿐이었습니다.

※ 참고: 세계의 살인죄 공소시효 기간

 

세계의 살인죄 공소시효 기간

우리나라의 살인죄 공소시효 기간우리나라는 지난 2015년 7월 31일을 기점으로 사람을 죽인 범죄에 대해서는 공소시효를 적용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개정된 살인죄 공소시효 폐지 법안은

jingoo.tistory.com

순위 지역 감소율
1위 경북 -4.85%
2위 부산 -4.46%
3위 전북 -4.37%
4위 울산 -4.34%
5위 서울 -4.06%
6위 경남 -4.02%
7위 전남 -3.88%
8위 광주 -3.80%
9위 대구 -2.98%
10위 대전 -2.19%
11위 강원 -1.67%
12위 제주 0.46%
13위 충북 -0.37%
14위 충남 +0.82%
15위 인천 +2.81%
16위 경기 +2.94%
17위 세종 +13.55%

 

시군구별 TOP 20

경남 창원시 의창구가 2020년 대비 -20.04%의 인구감소율을 기록하며 시군구 단위에서는 가장 큰 감소폭을 보였습니다. 2025년 4월 기준 의창구의 인구수는 5년 전보다 52,565명이 줄어든 209,676명으로 확인되었습니다.

 

2위는 강원도 태백시로써 -12.97%인 5,609명의 인구가 감소하여 현재는 37,642명이 등록되어 있었습니다. 3위는 경기 부천시 오정구가 -12.00%로 20,573명의 인구가 줄어들어 지금은 150,844명이 거주 중인 것으로 나타납니다.

 

지방 소도시뿐만 아니라 서울, 경기 등 수도권 지역에서도 지자체에 따라서는 인구 감소가 큰 곳이 눈에 띄었습니다.

※ 참고: 2025년 전국 명문 중학교 랭킹

 

2025년 전국 명문 중학교 랭킹

전국 명문 중학교 TOP 100국내 부동산 전문 플랫폼인 리치고 자료를 토대로 전국에서 과고, 외고, 자사고 진학률이 가장 높은 중학교를 1위부터 100위까지 추려보았습니다.※ 참고: 세계의 살인죄

road2ace.tistory.com

순위 지역 감소율
1위 경남 창원시 의창구 -20.04%
2위 강원 태백시 -12.97%
3위 경기 부천시 오정구 -12.00%
4위 부산 금정구 -11.88%
5위 경남 하동군 -11.56%
6위 서울 용산구 -11.34%
7위 부산 영도구 -11.09%
8위 강원 철원군 -11.01%
9위 경남 합천군 -10.91%
10위 부산 중구 -10.84%
11위 충남 부여군 -10.73%
12위 경북 봉화군 -10.35%
13위 경북 영덕군 -10.32%
14위 경기 광명시 -10.24%
15위 경남 창녕군 -10.21%
16위 전남 장흥군 -10.21%
17위 전남 보성군 -10.18%
18위 경남 함안군 -10.17%
19위 전남 완도군 -10.11%
20위 충북 영동군 -10.05%

 

읍면동별 TOP 30

유의미한 통계집계를 위해 읍면동별 인구 감소지역 순위는 거주인구가 5만 명 이상인 지역을 기준으로 삼았습니다.

 

1위는 경기 시흥시 정왕동으로 5년 전 대비 -38.86%의 감소율을 보였는데 이는 71,551명이 줄어든 수치입니다. 이로써 현재 정왕동의 인구수는 총 112,583명입니다.

 

2위는 서울 강서구 방화동으로 -18.01%의 인구 감소가 있었고 13,268명이 줄어 현재는 60,386명을 기록 중입니다. 3위는 대구 달서구 상인동인데 현재는 60,060명이 거주 중으로 5년 전 대비 12,894명이 줄면서 -17.68%의 인구 감소율을 보였습니다.

 

읍면동 단위에서도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의 주요 지역에서 10% 내외의 인구감소율을 보인 곳이 여럿 확인되었습니다.

※ 참고: 2023년 전국 전기차 충전소 설치 현황

 

2023년 전국 전기차 충전소 설치 현황

지방정부별 전기차 충전소 설치 통계 환경부에서 주관하고 있는 전국의 전기차 충전시설은 2023년 3월 말을 기준으로 약 22만 7천대 정도가 운영 중에 있습니다. ※ 자료: 환경부, 2023년 국정감사

rlasbtm.tistory.com

순위 지역 감소율
1위 경기 시흥시 정왕동 -38.86%
2위 서울 강서구 방화동 -18.01%
3위 대구 달서구 상인동 -17.68%
4위 경기 광명시 철산동 -16.84%
5위 인천 연수구 연수동 -16.00%
6위 경기 수원시 영통구 매탄동 -15.54%
7위 경기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 -14.42%
8위 부산 사하구 다대동 -13.12%
9위 대구 달서구 용산동 -13.05%
10위 인천 남동구 간석동 -12.78%
11위 인천 계양구 계산동 -12.32%
12위 경기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 -12.14%
13위 인천 남동구 만수동 -12.10%
14위 서울 서초구 방배동 -11.72%
15위 부산 북구 구포동 -11.46%
16위 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11.45%
17위 경기 광명시 소하동 -11.34%
18위 충남 천안시 서북구 쌍용동 -11.10%
19위 대구 남구 대명동 -10.83%
20위 경기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10.74%
21위 경기 고양시 덕양구 행신동 -10.71%
22위 경기 군포시 산본동 -10.66%
23위 서울 노원구 중계동 -10.57%
24위 부산 해운대구 재송동 -10.25%
25위 서울 노원구 월계동 -10.24%
26위 경기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 -10.23%
27위 서울 중구 신당동 -10.09%
28위 서울 금천구 시흥동 -9.98%
29위 서울 도봉구 방학동 -9.95%
30위 인천 부평구 삼산동 -9.76%

※ 출처: 리치고

반응형